광개토대왕 비문을 통해본 고구려 - 고구려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20:21
본문
Download : 광개토대왕 비문을 통해본 고구려 - 고구려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분석.hwp
(이에) 왕이 평양으로 행차하여 내려갔다.
④영락(永樂) 9年(399년) 기해(己亥)에 백잔(百殘)이 맹서를 어기고 왜(倭)와 화통하였다. 그때 신라왕이 사신을 보내어
다. 이 이후로 (帛愼은 고구려 조정에) 조공(朝貢)을 하고 (그 내부의 일을) 보고하며 (고구려의) 명(命)을 받았다. 그런데 왜가 신묘년(辛卯年)(391년)에 건너와 백잔(百殘)을 파(破)하고 (2字缺) 신라(新羅) … 하여 신민(臣民)으로 삼았다.
③영락 8년(398년) 무술(戊戌)에 한 부대의 군사를 파견하여 백신(帛愼 :息愼, 肅愼=숙신) 토곡(土谷)을 觀察(觀察), 순시(巡視)하였으며 그 때에 (이 지역에 살던 저항적인) 모□라성(莫□羅城) 가태라곡(加太羅谷)의 남녀 삼백여 인을 잡아왔다.
레포트/기타
광개토대왕비문
1. 추모왕에서 광개토왕까지의 세보(世譜)
2. 무훈기사(武勳記事)
3.수묘역(守墓役)
◎conclusion (답지작성)비문내용
1.추모왕에서 광개토왕까지의 세보(世譜)
2.무훈기사(武勳記事)
3.수묘역부분의 기사 내용
광개토대왕 비문을 통해본 고구려
(천하관 세계관)
광개토대왕비문의 내용을 분류하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추모왕에서 광개토왕까지의 세보(世譜) : 이 부분은 서언(序言)격으로 고구려의 건국 내력과 왕계(王系)에 관한 기록으로서 추모왕(동명성왕)이 ‘천제(天帝)의 아들이요 하백(河伯)의 외손’이라는 건국 설화를 바탕으로 고구려가 전통적인 천손국(天孫國)이라는 의식을 그대로 계승하여 천하에서 가장 신성하며 주변국을 복속시키는 것은 당연하다는 독자적 천하질서관(세계관)을 확립 선포하는 첫 부분에 해당한다고 볼 수…(투비컨티뉴드 )
① 패려(稗麗)를 영락(永樂) 5년 을미(乙未)에 왕이 친히 군사를 이끌고 가서 토벌함.
②백잔(百殘), 신라(新羅)는 옛부터 고구려 속민(屬民)으로 조공(朝貢)을 해왔다.광개토대왕,비문,통해본,고구려,고구려,전반적,이해와,기타,레포트
순서
Download : 광개토대왕 비문을 통해본 고구려 - 고구려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분석.hwp( 60 )
광개토대왕 비문을 통해본 고구려 - 고구려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분석
광개토대왕 비문을 통해본 고구려 - 고구려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분석 , 광개토대왕 비문을 통해본 고구려 - 고구려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분석기타레포트 , 광개토대왕 비문 통해본 고구려 고구려 전반적 이해와
광개토대왕 비문을 통해본 고구려 - 고구려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분석




설명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