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3:35
본문
최남선이 지은 장편 기행체의 창가로 근대 문명의 이기인 철도 개통을 찬양한 노래이다. 작품의 일부를 살펴보면,
됴고마한 딴 세상 뎔노 일웠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남대문을 등디고 떠나 나가서
목차
날개 가딘 새라도 못 따르겟네.
늙은이와 g은이 셕겨 안즈니
3. 근대문학 건설과 최남선의 역할
제시된 부분은 첫 두 절인데, 1절에서는 기적을 울리며 힘차게 출발하는 기차의 빠른 모습에 찬탄을 보내고 있다
우리네와 외국인 갓티 탓스나
1. 이해와 감상
2. 개화기 시가 속의 ‘창가’
빨니 부난 바람의 형세 갓흐니
순서
우렁탸게 토하난 긔Z 소리에
설명
내외 틴소 다갓티 익히 디내니
다. 한 연이 4행씩 총 67절로 되어 있는 장편의 창가이다. 이 노래는 Japan의 철도 개통 노래를 본받아 지었다고 하는데, 개화 가사까지 고수해 왔던 4.4조, 4음보의 전통 가사 율격을 깨뜨린 최초의 7.5조 노래라는 데 그 의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