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등기법] 부동산등기의 의의 및 종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0:31
본문
Download : 부동산등기의의의및종류.hwp
다.
(2) 거래의 안전보호
① 주등기
(3) 등기의 내용에 의한 분류
(5) 등기의 효력에 의한 분류
설명
① 기입등기
② 예비등기
② 권리변동의 등기
부동산등기의 의의 및 종류에 대하여 일목요연하게 설명(explanation)하고 있는 글입니다.
⑤ 회복등기
1. 등기의 의의
(3) 성립요건으로서의 등기
① 보존등기
2. 부동산 등기제도의 의의
(4) 등기의 방법 내지 형식에 의한 분류
② 경정등기 : 어떤 등기를 하였는데, 그 절차에 착오 또는 유루가 있어서 원시적으로 등기와 실체관계와의 사이에 불일치가 생긴 경우에, 이를 고쳐서 바로잡기 위하여 하는 등기이다(법 71, 72)
② 권리변동의 등기
③ 변경등기
부동산등기의 의의 및 종류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 [목차]
② 경정등기
① 기입등기 : 새로운 등기요인에 기하여 어떤 사항을 등기부에 새로이 기입하는 등기이며, 보통 등기라고 하면 이를 가리킨다. 소유권보존등기, 소유권이전등기, 저당권설정등기 등이 있다아
사실의 등기는 부동산의 소재, 지번, 면적, 지목, 구조 등을 등기부의 표제부에 표시하며, 권리의 등기는 등기용지 중 갑구란과 을구란에 하는 부동산의 권리관계에 관한 등기이다.
3. 등기의 종류
(1) 등기제도의 공시성
신축건물과 같은 미등기의 부동산에 관하여 그 소유자의 신청으로 처음으로 행하여지는 소유권의 등기가 보존등기이다.
① 종국등기
Download : 부동산등기의의의및종류.hwp( 84 )
② 부기등기
① 보존등기
③ 변경등기 : 어떤 등기가 행하여진 후에, 등기된 사항에 변경이 생겨서 후발적으로 등기와 실체관계와의 사이에 불일치가 생긴 경우에 그 불일치를 고쳐서 바로잡기 위하여 하는 등기가 변경등기이다.
3. 등기의 종류
순서
(3) 등기의 내용에 의한 분류
⑥ 멸실등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본문일부]





④ 말소등기
(1) 사실의 등기와 권리의 등기
(2) 보존등기와 권리변동의 등기
(2) 보존등기와 권리변동의 등기
[부동산등기법] 부동산등기의 의의 및 종류
등기, 등기제도, 부동산등기법, 부동산등기, 등기법
(1) 사실의 등기와 권리의 등기
소유권의 보존등기를 기초로 하여 그 후에 행하여지는 권리변동(소유권의 이전, 저당권의 설정 등)의 등기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