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정책비교 흥선대원군 VS 민비 / 정책비교 흥선대원군 VS 민비 목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8:53
본문
Download : 정책비교 - 흥선대원군 VS 민비.hwp
완화군이 13세 갑자기 죽자 대왕대비는 완화군이 생시에 즐기던 군밤을 상청에 올리는 것으로 일과를 삼았다는 것만 보아도 대왕대비가 얼마나 애지중지했던가를 짐작할 수 있겠다. 궐내의 이런 기쁨이 명성황후에게는 심각한 문제로 다가왔다. 적서(嫡庶)의 discrimination이 없었던 왕실이었으므로 나중에 명성황후에게서 왕자가 태어난다 하더라도 세자가 되리라는 보장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궁인 이씨는 살결이 희고 키가 훤칠한 미인이었는데 완화군을 낳고 영보당이라는 당호를 얻었다. 더구나 5대 조모인 인현왕후가 아들을 낳지 못함으로서 정쟁에 휘말리게 되었고 급기야 궁궐에서 쫓겨나게 된 기막힌 사연을 기억하고 있던 명성황후로서는 심상히 보아 넘길 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기쁨의 한 쪽에 비켜...
설명





순서
다.[인문사회] 정책비교 흥선대원군 VS 민비 / 정책비교 흥선대원군 VS 민비 목차
인문사회 정책비교 흥선대원군 VS 민비 / 정책비교 흥선대원군 VS 민비 목차
정책비교 - 흥선대원군 VS 민비 목차 1 흥선대원군과 민비의 대립 2 ...
정책비교 - 흥선대원군 VS 민비 목차 1 흥선대원군과 민비의 대립 2 ...
Download : 정책비교 - 흥선대원군 VS 민비.hwp( 52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정책비교 - 흥선대원군 VS 민비 목차 흥선대원군과 민비의 대립 흥선 대원군 1. 생애 및 개혁 정치 2. 대원군의 쇄국정책의 배경 3. 서양열강의 공세 4. 쇄국정책의 말로 민비 1. 출신과 간택 2. 대원군과의 갈등 3. 친청정책 4. 외교정책 5. 친러 정책과 을미사변 흥선대원군과 민비의 대립 1868년 (戊辰 고종5) 윤4월에 궁인 이씨에게서 완화군(完和君 1868 - 1880)이 태어났다. 그의 아들 헌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전계군(全溪君)의 3남 원범을 철종으로 삼았고 철종 마저 후사가 없어 흥선군의 2남을 불러들여 고종으로 삼았던 대왕대비였기에 왕손을 얻었다는 것은 기쁘기 한량없는 일이었다. 이 첫 왕자가 영보당의 미모와 고종의 후덕함이 조화된 결함 없는 용모를 가졌기에 완화(完和)라는 군호를 내렸다는 이야기도 있다아 완화군의 탄생을 가장 반긴 것은 대왕대비 조씨였다. 고종에게는 첫아들이요, 대원군에게는 자기의 혈통을 이은 첫 왕손이었다. 물론 고종과 대원군의 기쁨도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