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준거 조사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1:55
본문
Download : 교육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준거.hwp
이 53
1) 면접 34
김동옥 (1996). 국가수준에서 학교 컴퓨터 교육의 추진 성과 및 발전assignment. 학교컴퓨터 교육발전assignment 탐색세미나 보고서.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3. 학습자들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 관련 선행연구 28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necessity need 1
1) 학습자들의 평가참여 여부에 대한 연구 28
박명주 (1991). CAI 코스웨어의 평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 석사학위논문.
교육용소프트웨어 학습자 평가준거 / 강병재 (1994). CAI 코스웨어 평가 준거개발 및 적용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3)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준거 9
교육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준거 조사연구
석 48
1. 연구절차 33
3) 교육용 소프트웨어 平均(평균) 사용시간에 따른 평정의(定義) 차
Ⅲ. 연구절차 및 방법 33
55
Ⅴ. 논 의 59
부 록 75
4) 선행 평가 및 평가준거의 problem(문제점) 22
()
이 50
2) 학습자들의 교육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만족도 5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3





Ⅰ. 서 론 1
2) 학습자들이 설문지에 제시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준거 46
교육용소프트웨어 학습자 평가준거
ABSTRACT 81
나일주와 정인성 (1992). CAI개발과 활용. 서울 : 교육과학사.
2)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 방법 8
3)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준거 30가지에 대한 요인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설문조사 37
하드웨어와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힘입어 교수-학습환경은 점차로 멀티미디어화 되어가고 있으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교수-학습 資料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alteration(변화) 되어가고 있따 교육용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alteration(변화) 가운데 교육방법상의 획일성과 전근대성을 해결해 줄 대안으로 인식되면서 많은 관심 속에 개발되어왔다(한국교육개발원, 1990).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보급은 교육정보화 사업의 核心적인 과제(problem)로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오고 있따 지난 1988년부터 1995년까지 이미 745편의 교육용 소프트웨어가 여러 관련 기관들을 통해 개발·보급되었으며, 96-2000 교육정보화 촉진 시행계획에 따르면 앞으로도 학교교육용 2406종 이상, 사회교육용 725종 이상, 직업훈련용 1440종 이상이 개발되어 보급될 예정에 있다(교육부, 1996).
2.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준거에 대한 학습자 평정의(定義) 차
2. 연구방법 34
2) 교육용 소프트웨어 활용경험에 따른 평정의(定義) 차이 52
참 고 문 헌 71
Ⅱ. 이론(理論)적 배경 7
1. 학습자들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준거 43
나일주 (1990). 컴퓨터를 통한 수업과 학습, 교육진흥, 3(1), 22-35.
2) 학습자들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준거 관련 선행연구 29
순서
3) 학습자들의 컴퓨터 사용용도 58
설명
Download : 교육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준거.hwp( 37 )
1) 국내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 및 평가준거 10
3. 기타 설문조사 결과 55
1) 학습자들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준거에 대한 중요도 평
1.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 7
김태용 (1993). 고등학교 영어학습용 CD-ROM 코스웨어 평가分析(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3) 선행 평가 및 평가준거의 공통점 19
2) 해외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 및 평가준거 14
교육부 (1996). ’96-2000 교육정보화촉진 시행계획.
교육용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개별화 교육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자 개인의 수준과 속도에 부합되는 학습환경을 구성해 줄 수 있고, 다수의 학습자들이 교사 한 사람과 제한된 상호작용을 하게되는 교실수업과는 달리 학습자 개개인에게 충분한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학습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인내심을 갖고 격려할 수 있고, 학습자의 학습진행 상황 및 학업수행결과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집, 종합, 분석하여 최적의 학습조건을 진단하고 처방하여 줄 수 있다는 등의 여러 advantage으로 인해 그 교육적 가능성을 인정 받아왔다(나일주와 정인성, 1992 ; 박성익, 1990). 그리고 정보통신망의 발달로 네트워크 상에서의 교육활동이 가능해지면서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necessity need과 중요성은 점차 더 커지고 있따
1) 학습자들이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학습하는 이유
2.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 및 평가준거 관련 선행연구 10
1) 성별에 따른 평정의(定義) 차이 50
2. 연구 문제 5
1)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 concept(개념) 7
정 43
김신자 (1991). CAI 코스웨어 평가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논집, 59, 155-175.
교육용소프트웨어 학습자 평가준거 / 강병재 (1994). CAI 코스웨어 평가 준거개발 및 적용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김동옥 (1996). 국가수준에서 학교 컴퓨터 교육의 추진 성과 및 발전과제. 학교컴퓨터 교육발전과제 탐색세미나 보고서.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김신자 (1991). CAI 코스웨어 평가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논집, 59, 155-175. 김영수 (1990). 한국 CAI 코스웨어에 대한 검토■평가연구. 교육공학연구, 6(1), 115-151. 김태용 (1993). 고등학교 영어학습용 CD-ROM 코스웨어 평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교육부 (1996). ’96-2000 교육정보화촉진 시행계획. 나일주 (1990). 컴퓨터를 통한 수업과 학습, 교육진흥, 3(1), 22-35. 나일주와 정인성 (1992). CAI개발과 활용. 서울 : 교육과학사. 박명주 (1991). CAI 코스웨어의 평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 석사학위논문. ()
김영수 (1990). 한국 CAI 코스웨어에 대한 검토■평가연구. 교육工學(공학) 연구, 6(1), 115-151.
Ⅵ. 요약 및 結論 65
다.